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catalina.out
- Docker Compose
- 특수문자 치환
- sftp
- 엔티티 코드 치환
- insert
- docker 컨테이너로 띄우기
- 자바
- aws elasticache 활용
- 제이쿼리
- javascript
- Java
- js
-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
- 초단위
- Linux
- 리눅스
- Entity Code 치환
- Stack
- 정규식
- for문
- select
- mysql
- redis + spring boot 함께
- architecture
- 톰캣
- Tomcat
- jQuery
- 자바스크립트
- springboot+redis
Archives
- Today
- Total
꾸준하게, 차근차근
[Linux] nohup 명령어 본문
1. nohup 명령어
명령의 정지나 로그아웃에 영향을 받지 않는 명령으로 유닉스 시스템의 접두부(다른 명령의 앞에 오는 명령) 명령의 하나이다.
따라서 해당 명령을 지속적으로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.
2. nohup 실행
nohup [실행파일명] &
위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위 실행파일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된다.
‼️ 주의
nohup으로 실행할 쉘스크립트 파일(*.sh)은 퍼미션이 755 이상이어야 한다.
3. 로그파일 남기지 않도록 nohup 실행
nohup [실행파일명] 1>/dev/null 2>&1 &
1>/dev/null 이 표현은 1의 결과를 /dev/null 이라는 파일 속에 넣는다 라는 의미이다. /dev/null로 보내버리면 모든 출력을 없애버린다.
2>&1 이 표현은 2번 파일 디스크립터를 1번에 지정된 형식과 동일하게 /dev/null로 지정한다는 의미이다.
& 은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표현이다.
4. nohup 실행 확인
ps -ef | grep [리눅스 접속 유저명]
[root@idcserver ~]$ ps -ef | grep jnlim
root 36221 1064 0 18:38 ? 00:00:00 sshd: root [priv]
root 36230 36221 0 18:38 ? 00:00:00 sshd: root@pts/0
root 36231 36230 0 18:38 pts/0 00:00:00 -bash
root 36255 36231 0 18:38 pts/0 00:00:00 ps -ef
root 36256 36231 0 18:38 pts/0 00:00:00 grep --color=auto root
5. nohup 삭제
a. ps -ef | grep 명령어로 실행
ps -ef | grep 쉘스크립트파일명
b. kill 명령어로 실행
kill -9 PID번호
🙏 참조 ::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sftp 패스워드 없이 key 인증으로 접속 (0) | 2022.05.25 |
---|---|
[Linux] Crontab(크론탭) 시간 설정 (0) | 2022.04.28 |
[Linux] OS버전 확인하기 (0) | 2022.04.28 |
[Etc] keytool, OpenSSL, Tomcat 사용 SSL 설정 (0) | 2021.11.26 |
[Linux] centOS7 방화벽(firewall) 포트 오픈 방법 (0) | 2021.01.29 |